이번에는 페이스리프트된 현대 더 뉴 i40 살룬을 시승했다.
이번 I40는 페이스리프트된 외관 뿐만 아니라, DCT(듀얼클러치미션)을 탑재하고 디젤엔진도 유로6에 맞게 개선하여 퍼포먼스에 관련된 상품성도 변화를 준 모델이다.
특히 이번 시승모델은 D-spec모델로 상위그레이드이면서 기본기가 강조된 모델로 3,125만원의 가격에 파노라마 썬루프가 옵션으로 들어갔다.
현대차 더 뉴 i40 살룬 D-spec에 대한 시승 소감을 풀어놓아보자.
![]()
현대 더 뉴 i40 살룬의 변경된 디자인
금번 페이스리프트시에 변경된 중점 부위는 바로 프론트 디자인
한마디로 좀 더 현대적이고 눈에 띄는 마스크를 구현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
라디에이터 그릴은 블랙처리를 해서 바디와 범퍼 컬러의 차이를 두었고 가장자리에 크롬처리를 하여 포인트를 주었고 그릴 내부에는 가로로 여러개의 라인을 주었는데 D-Spec은 그릴내 라인에 크롬도금이 안되어 있는 디자인을 부여했다.
그러면서 LED 주간주행등을 헤드램프와 안개등에 적용해 기존 디자인보다는 젊고 스포티해진 분위기를 자아냈다.
![]()
![]()
i40는 엄밀하게 말하면 쏘나타보다 전장과 전폭이 작은 차이다.
중형차의 크기가 우리나라 시장에서 중요했기때문에 조금씩 계속 커진 쏘나타와는 달리 i40는 유럽시장을 지향하고 만든 차이기 때문에 궤를 달리했다.
현대 i40는 쏘나타보다 전장은 9cm작고 전폭은 5cm 정도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그러면서도 승객석의 크기는 최대한으로 뽑기 위해 캡포워드 디자인에 루프라인을 길게 뽑은 날렵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후면디자인은 리어램프에 LED 적용된 점 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모습, 다만 디젤모델에 붙어있는 VGT라는 엠블럼은 e-VGT로 바뀌었다.
바로 유로6 규정을 만족하는 엔진으로 개선되었기 때문, 이때문에 연비도 소폭 올라갔다.
![]()
![]()
자, 외관은 이렇게 바뀌었는데 D-spec 모델 이라서 다른 점은 뭔지 한번 짚어보자.
우선 실내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 바뀐 점은 없는데 D-spec 그레이드에는 가로라인으로 카본 그레이 가니쉬가, 스티어링휠에 그레이 스티치가 적용된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
![]()
그리고 D-spec에는 시트가 베이지컬러가 들어간 투톤컬러에 세미버킷 스타일의 시트가 적용되어 있는데, 앉아보면 어깨를 감싸는 느낌을 더 느낄 수 있다. 투톤컬러보다는 세미버킷 시트에 점수를 주고 싶다.
![]()
핸들링과 주행을 좀 더 강조한 D-spec이라서 좀 더 고성능의 분위기를 위한 몇가지가 적용되어 있는데
우선 패들쉬프트에 메탈 페달
![]()
![]()
그리고 18인치 D-spec용 블레이드 스포크 알루미늄 휠이 적용되어 있다.
![]()
현대 더 뉴 i40 살룬의 주행성과 느낌은?
이번에 들어간 1.7리터 디젤엔진은 유로6 배기가스 규제에 맞춰서 살짝 업그레이드 되었는데, 출력은 1마력이 늘어난 141마력, 토크는 3.7kg.m이 늘어난 34.7kg.m의 토크를 보여주는데 체감이 될 정도의 변화는 아니지만 유로6는 배기가스 규제이다보니, 역시 연비의 개선이 좀 더 두드러진다.
과거 15.1km/L의 연비에서 16.2~16.7km/L(18인치~16인치휠)로 소폭 개선된 연비를 보여준다.
![]()
이번에 주행하면서 느껴진 것은 이전 i40 디젤은 분명히 스티어링휠의 전달되는 진동이 좀 있었는데(예전 시승기에서도 피력했었던 것이 기억난다) 이번 더 뉴 i40에서는 대폭 줄어들었다.
N.V.H면에서 개선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가장 인상적인 것은 개인적으로 핸들링 측면이다.
D-spec 버전을 처음타는지라 기존 D-spec과 일반모델과의 비교는 어렵지만, 절대적인 기준에서 핸들링과 밸런스가 기대보다 좋았다.
특히나 연속되는 굽이치는 코너에서 차체의 밸런스를 잡아가는 모습은 과거 현대차보다 정말 많이 나아진 느낌, 더구나 한계치에 다다르기 전에 VDC가 개입하면서 먹통되거나 위화감이 있던 것들이 이번 더 뉴 i40에서는 아주 세련되어 졌다.
![]()
이것이 i40 D-spec과 일반의 차이인지, 올 뉴 i40과 기존 i40의 차이인지는 파악이 되지 않지만, 분명한 건 나쁘지 않고 괜찮다는 점이다.
코너에서도 돌아가는 느낌도 어느정도 일체감을 선사하며 이것이 ATCC(선회가속제어시스템) 덕분인지 D-Spec에 적용된 서스펜션 때문인지 잘 모르겠다.
스포츠모드로 바꾸면 꽤 제법 스티어링휠의 묵직한 느낌도 주어지는데, 아쉬운 것은 아직도 부자연스럼 조향감은 남아있다.(물론 예전보다는 계속 좋아지는 것 같다)
그리고 차량의 밸런스는 잘 잡아가지만 아직 코너를 들어갈때의 플랫함을 이루는 느낌과 같은 감성은 좀 더 요구되기도 한다.
![]()
하나 지적하자면 드라이브 모드가 센터페시아 우측에 있는데 이 주행모드 변경 버튼은 센터페시아 좌측에 있는 것이 맞다고 보여지는데,
차라리 좌측에 있는 빈도가 낮은 트랙션컨트롤 버튼과 스위칭하는 것이 좋겠다.
![]()
DCT 이야기도 해보자.
현대차는 DCT를 웹사이트를 보니 더블클러치미션으로 부르기로 한것 같은데, 현대 더 뉴 i40은 7단 DCT가 적용되어 있다.
즉각적인 엑셀링을 하면서 주행해보면 현대차가 적용한 DCT는 즉각적인 변속과 엔진반응보다는 연비를 더 비중을 둔 셋팅으로 보여진다.
![]()
7단 탑기어에서 80km/h 속도에 엔진회전수는 1,500rpm, 100km/h로 올리면 1,750rpm 정도된다.
속도구간은 중저속에서 세분화시키고 적극적으로 쉬프트업 하는 연비위주의 셋팅인데 패밀리세단이니 당연한 것이기도.
![]()
공인연비는 18인치 휠을 채용한 모델이어서 16.2km/L(도심 14.9km/L, 고속 17.9km/L) 로 표기되어 있는데, 실연비는 어땠을까?
90km~100km/h의 속도로 정속주행하면 20~21km/L 정도 나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물론 그런데로 잘 나오는 수치이나, DCT적용이 연비중심의 셋팅이고 유럽산 디젤들이 나오는 20km/L를 훌쩍 넘기는 실연비 수치까지 고려한다면 어느 정도 아쉬움도 남았다.
![]()
현대 더 뉴 i40살룬의 실내공간
실내공간 이야기를 해보자.
쏘나타보다 전장과 전폭이 작은 차이지만 실내는 충분히 넓었다.
현대차에 더이상 실내의 크기나 마무리에 대해서는 솔직히 지적할 것이 없다는 생각이다.
![]()
6:4 폴딩을 지원해서 좀 더 활용성 높게 운용할 수 있기도
![]()
트렁크도 골프백 4개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되고 어쨌든 중형차 수준의 차라서 이 정도의 마감이면 더이상 뭐라 말할 수 있는 것이 없다.
![]()
![]()
하나 지적을 하자면 이건 사소한 것이지만 꼭 반영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는데
현대 i40은 쏘나타보다 좀 더 고급스런 차별화를 위해서 군데군데 신경쓴 흔적이 있는데, 트렁크에서 리프터분위를 이렇게 플래스틱으로 덮개를 하여 좀 더 세련된 느낌을 주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하단에 사진처럼 좀 날카로운 모양새로 되어 있어 이곳에 박스나 쇼핑백이 트렁크를 닫으면서 저 모양새에 찢기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는데 이 부분은 개선되어야 할 것 같다.
![]()
그 외 수납공간에서는 중형차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부드러운 소재의 마감처리도 발견할 수 있었다.
![]()
현대 더 뉴 i40의 주요 사양
현대차의 인포테인먼트는 블루링크 2.0이 적용되었는데, 이번 시승시 이용하지는 않아서 패스
그것보다는 내비게이션 이야기를 하면
2014년초부터인가 실시간 경로정보가 업데이트되어 UI와 실시간 길찾기도 괜찮은 수준이다. 물론 더 UI가 좋고 더 실시간 길찾기가 좋은 주체들이 있지만 비포마켓으로 들어간 메이커들의 내비를 비교하자면 가장 우위라고 볼 수 있겠다.
![]()
정차시에 자동으로 시동을 꺼줘서 연비를 절감해주는 ISG시스템(오토스탑) 기능도 들어가 있다.
시내주행연비는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 기능이다.
![]()
입체적으로 보실 분들은 현대 더 뉴 i40 살룬 D-spec을 영상으로 확인해보자.
총평
이 i40 D-spec을 타보면서 핸들링이나 주행면에서 현대차에게 더 기대를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 현대차 디젤의 실연비는 다른 디젤 수입차의 판타스틱한 연비까지는 아니어서 좀 더 레벨업의 과제가 있지만, i40 D-spec의 주행밸런스와 주행의 디테일은 기대보다 인상적이었다.
디자인 측면으로도 아마도 좀 더 주목도가 높아진 것에대해 수긍이 가는 변화였다고 생각이 된다.
i40 D-spec을 경험해보면서 이번에 LF 쏘나타 터보가 어떤 주행을 보여줄지 기대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