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거꾸로보는 백미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2379

푸조508SW - 푸조 508세단과 다른점을 꼽아보면?

$
0
0

푸조 508은 푸조의 기함입니다.

4.8미터짜리 전장을 가진차이니 중형급 정도의 차 크기이나 프랑스의 실용주의로는 이 차정도로도 플래그쉽을 삼아도 된다는 개념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푸조는 제 머리속에 인식된 사항도 연비가 좋은 메이커로 남아있는데요

효율성 좋은 디젤엔진을 예전부터 만들어 왔고 효율성이 좋은 MCP미션 등으로 특히나 1.4리터,1.6리터 디젤엔진을 탑재한 차들의 실연비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실용성으로 각인되어 있는 푸조라는 메이커에서 508이란 기함에 좀 더 실용성을 부여한 508SW 2.0디젤 왜건을 시승했는데요. 가격은 4,890만원, 마스크나 엔진,실내가 동일하니 세단과 다른 왜건모델의 차이점을 꼽아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푸조의 디자인은 펠린룩이라고도 불리우는데요.

508SW의 경우 세단처럼 C필러에서 선이 떨어지지않고 D필러까지 뻗게 되는데, 대부분의 메이커들이 왜건에서 더 유려한 라인을 뽑아내고 있습니다.

푸조508SW도 마찬가지 입니다.  

사이드윈도우로 끝까지 길게 일체형으로 보이고 루프라인도 끝까지 부드럽게 떨어지는 라인을 가지고 있어 잘 빠져보이고 상당히 길어보입니다.

 


리어뷰에서는 508세단이 번호판이 범퍼아래 있다면 508SW는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LED가 들어간 리어램프와 평범하고 무던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지요.



자 성능측면은 푸조 508세단과 동일합니다.

우선 푸조508 시승기( http://100mirror.com/1578 )를 참고하시구요. 간략하게만 언급하고 빨리 508세단과의 차이점인 부분을 거론하도록 하겠습니다.


푸조 508은 2.0리터 디젤모델입니다.

163마력에  34.6kg.m의 토크인데요. 1,585Kg의 차체를 움직이기에는 충분하고 응답성도 그리 둔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6기통 디젤이 아닌 4기통 디젤임에도 정숙성이나 진동이 괜찮다고 보여집니다.

디젤의 소음/진동에 대한 관점은 솔직히 어느정도 경험했냐고 많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가솔린만 타다가 디젤을 처음 탄 사람은 굉장히 씨끄러워하고 어색해합니다.

제가 보는 견지에서는 국산디젤/수입디젤 4기통중에서는 이정도면 소음도 괜찮은 편이고 진동도 괜찮습니다.

 


또한 푸조 508은 적당히 무거운 스티어링휠과 묵직한 차대 느낌이 장점입니다.

푸조의 플래그쉽 모델이니만큼 당연한 것이기도 하구요.

아쉬운 점을 꼽으면 고속에서 스티어링휠 반응이 좀 아쉬운 점을 이야기할 수 있겠네요. 

공인연비는 14.8km/L,  100km/h 정속주행시 20~21km/L 정도 실연비가 나온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실내도 508세단과 동일합니다.

블랙 하이그로시 재질과 소프트스킨, 플라스틱 재질을 조합해서 사용했는데, 세련되기보다는 평범하고 무난한 편입니다.


 


계기판의 경우 눈금이 많은 스타일인데 속도계나 중앙에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가 인위적인 느낌이 없는 것이 장점입니다.

보통 컬러를 제공하지 않는 계기판 정보창의 경우 해상도가 떨어지거나 어설픈티가 나는데 508SW는 컬러가 아닌 흑백이지만 해상도가 부족해보이지 않고 단정해보이는 편입니다.


 


자, 508세단과 508SW의 차이점을 볼까요?

왜건이라는 차이점은 일단 아실테고, 가장 눈에 들어오는 차이점은 역시 파노라마 루프 글래스입니다.

날씨가 맑은 날에는 이렇게 푸른 하늘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낭만적인 일이죠.

더구나 뒷자리까지 통으로 되어 있는 이정도의 면적에 주는 개방감이란 것은 차원이 다릅니다. 

 


그런데 이 파노라마 루프 글래스가 열리냐고 물어보시는 분이 간혹 있는데요.

열리지 않습니다.  이 정도 면적의 글래스를 열 수 있게 만든다면 새로운 신기술이 나오지 않는 이상 이 면적을 유지할 수 없겠죠.

어쨌든 508SW는 왜건이라는 특성 때문에 좀 더 패밀리카의 성격과 함께 레져라는 특성을 부여해서 국내에서는 파노라마 루프 글래스를 장착하고 나왔습니다.

이것 때문에 푸조 508 세단보다 가격이 130만원 정도 비싼 것이 아닌가 합니다.

 


자 왜건의 최대 장점은 트렁크 이야기로 갈까요?

508세단과 차이점 중에 이 트렁크 활용을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없지요.



왜건의 장점은 SUV가 비슷한 높이의 트렁크 수납공간을 가진 다는 것인데요.

물건들을 높이 쌓지 않아도 되면 이렇게 덮개를 닫을 수도 있구요.



2열 폴딩을 하면 이 정도까지 공간이 나옵니다.

요즈음 2열 시트의 쿠션이 어느정도 있는 형태라면 아주 플랫한 형태는 아니지만 마감도 깔끔하게 잘 되어 있고 아주 큰 물건을 취급할 수 있는 공간이 나오죠.



마감적인 부분은 이런 부분에서도 느낄 수 있는데 

이렇게 물건을 싣을 때 걸칠 수 있는 부분이 스틸재질로 되어 있는 점이나 트렁크 언더커버 손잡이의 재질 등에서도 약간의 의외인데 그런 생각이 들게 됩니다.



언더커버를 열면 스페어타이어가 아니라 스페어킷이 들어있구요.

사물함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스페어타이어보다는 스페어킷이 맞다고 생각되는데, 실제 스페어타이어를 갈정도의 펑크를 겪는 빈도가 별로 없기 때문에 오히려 무게도 줄이고 공간활용성도 높이는 쪽이 맞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측에는 라이트 이외에도 2열 시트의 등받이를 폴딩시킬 수 있는 레버가 있구요.



짐을 더 올리게되면 이렇게 2열과 화물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508SW가 가격이 더 비싼 이유는 이런 곳에서도 발견할 수 있네요.

트렁크가 전자동입니다.

번호판 위쪽에 있는 버튼을 살짝 누르면 전동으로 올라가구요. 문을 닫을때는 이 안쪽의 버튼을 누르면 닫혀집니다.

 


2열 공간은 유럽스타일대로 쿠션이 넉넉한 개념이 아닌 단단한 스타일이구요.

레그룸도 적당하고 스키스루까지 제공됩니다.



자, 푸조508 SW 왜건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는데요.

실제 실용성으로 따진다면 역시 세단보다 더 나은점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왜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왜건보다 SUV가 더 소비자에게 인식되어 왜건이 인기가 없는편인데요. 차츰 나아지지 않을까 합니다. 

특히 디젤 왜건은 더더욱 실용성 면에서는 빠질 것이 없는 모델이기도 하죠.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2379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