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거꾸로보는 백미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2379

2015 스파크 C-TECH 시티팝 시승기

$
0
0


자, 경차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기아 모닝과 쉐보레 스파크, 두 기종 모두다 꾸준히 팔리는 기종이다.

그 중 쉐보레 스파크는 좀 더 개성과 멋을 내는 소비자가 고르고 있고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차종인데, 매년 지속적인 상품개선을 선보이면서 이번에는 개선된 무단변속기 버전 스파크 C-TECH를 내놓았다. 

그 중 드레스업된 패키지 스페셜 에디션 버전인 '시티 팝' (1,398만원)을 타본 소감을 이야기해보자.

※ 2015 스파크 가격 : 952만원(스파크 MT 승용밴) ~ 1,458만원(스파크 C-TECH LT)





2015 스파크 C-TECH 시티 팝의 달라진 점은? 



자, 우선 C-TECH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외모적으로 달라진 점은 무엇있지 짚어보자.

우선 블랙&화이트 컬러에 포인트를 준 것이 특징(시승한 차량은 화이트)인데, 첫 눈에 들어오는 것은 역시 알루미뉼 휠!

보통 바디컬러와 휠 컬러를 통일하면 세련되게 보이는 컬러가 바로 블랙과 화이트인데, 그것을 정확히 이용한 스페셜 버전이다.

쉐보레 마크가 조금만 더 컷으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도 들지만 어쨌든 아주 세련된 포인트인 것을 확실!



그 다음 눈에 들어오는 것은 스파크 영문 이름이 들어간 사이드 데칼



그리고 스파크 시티 팝에서는 루프랙은 기본으로 들어가게끔 패키징 되어 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블랙 인테리어 데코몰딩을 적용되어 있는데, 화이트 바디 컬러에 대조되어 잘 어울림을 알 수가 있다.



스포티함을 강조한 스페셜 에디션 답게 스포츠 페달도 적용되어 있는데, 경차에도 이런 사양까지 적용하는 것을 보면 스파크는 어떤 소비자가 주로 사고 어떤 것을 요구하는 분위기인지 알수가 있다.



자, 달라진 점은 이 정도,
스파크는 개인적으로 디자인에 대해서 이런 평을 내리고 싶다.
여러 차들의 디자인을 보면, 출시된 시점에 따른 디자인의 노후화를 느낄 수가 있는데, 스파크는 벌써 나온지가 5년이 되었는데도 디자인 자체가 고루해보이거나 질려보이지 않고 세련됨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인 오리지날 디자인이 꽤 잘되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인데, 

이 디자인은 바디의 프로포션부터 스포티함과 적절한 균형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보닛 끝까지 뻗은 헤드라이트나 2열의 시크릿도어와 같은 훌륭한 디자인 포인트들은 이 차의 젊음을 그대로 유지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가장 잘 된 곳을 꼽는다면 바로 여기

사이드에서 후면부로 넘어오는 바디에 곡선의 2라인이 이 차를 풍성하게 보이고 세련되게 보이는 화룡정점이 아닐까 싶다.

또한 심심하지 않은 리어램프는 이 차가 수년동안 디자인의 큰틀을 바꾸지 않고도 전혀 오래된 모델처럼 보이지 않는 비결이기도 하다.










2015 스파크 C-TECH 시티 팝의 주행성능과 C-TECH



자, 이제 C-TECH의 주행성능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2013년 스파크S 모델에 자트코 무단변속기를 도입한 스파크는주행성능과 연비에 있어 시장의 반응이 괜찮은 것을 확인하고, 고급모델이었던 스파크S에만 적용한 C-TECH(무단변속기)를 전트림으로 확대 적용했다. 이 C-TECH은 글로벌 무단변속기 시장에서 49%를 차지하는 자트코사 제품으로 세계 특허를 받은 부변속기를 적용하여 좀 더 주행성능을 높인것이다.



주행느낌은 어땠을까?
확실히 중저속에서 좋아진 응답성을 느낄 수 있었다.
무단변속기는 변속충격이 없어 쾌적성이나 부드러움에서 점수를 줄 수 있지만 반응면에서 일반변속기보다는 좋다고 볼 수는 없었는데 2015 스파크는 중저속에서 의외로 반응성이 좋음을 체감할 수 있었다.
물론 고속으로 올라가면 반응은 더디어 지나 이는 변속기 보다는 경차가 가지고 있는 출력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경차인 점을 감안하면 수긍이 가는 부분이기도 하다.

- C-TECH 시티팝에 적용된 블랙하이그로시 스티어링 휠 커버


C-TECH CVT는 부드러운 주행성도 같이 가지고 있는데, 스파크의 경우 1리터임에도 4기통 Gen2 엔진(75마력, 9.6kg.m의 토크)이 적용되어 부드러운 질감면에서는 C-TECH 무단변속기와 잘 어울린다고 볼 수 있다.



스파크 C-TECH의 주행은 역시 쉐보레 계열의 차들의 특징인 좋은 차대와 이를 바탕으로 한 고속에서의 안정감, 그리고 코너링시 원심력을 잘 제어하는 그런 속성은 스파크에서도 그대로 가져가고 있다.

경차이기에는 좋은 안정감과 탄탄한 차체 느낌은 쉐보레 스파크의 특유의 강점이면서 한국 최초 경차 신차안전도 평가1등급, 2014년 미국IIHS에서 실시한 안전도 테스트에서 경,소형차 중 유일하게 가장 안전한 차(2014)로 선정되었던 점은 쉐보레가 보여주는 기본적인 속성이기도 하다.

(스파크 C-TECH의 경우 LS+ 트림부터 에어백도 6개제공)


자, 경차에게 중요한 것은 또 하나, 바로 연비이다.

경제성을 위해서 타는 차이니, 서울 서하남 IC에서 남양주군 사릉까지의 거리는 총 20km,  이를 왕복한 실연비는 어땠을까?

2015 스파크 C-TECH의 공인연비는 복합 15.3km/L(도심 13.8km/L, 고속 17.7km/L)인데, 왕복한 40km의 주행에서는 19.7km/L이 나왔다.



아마도 일반적인 운전자가 90~100km/h의 속도로 주행을 부드럽게 한다면 19km/L 이상의 연비는 나올 것이라고 본다.

과거부터 쉐보레 차들은 고속에서 공인연비대비 실연비율이 좋았던 경험과 기억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 C-TECH 무단변속기를 채용한 스파크도 어김없이 고속 실연비율이 좋은 편이다.  





2015 스파크 C-TECH의 실내공간과 사양



경차에 공간을 이야기하는 것이 맞나? 라는 생각이 들지만

나름 트렁크 공간이 일상 생활을 할때 큰 부족함은 없다.

이렇게 짧은 차체에서도 뽑아낸 트렁크 공간은 어쩌면 감사할 따름



이런 트렁크 공간은 당연히 2열을 폴딩해서 더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이 해치백 스타일의 장점이니 경차인 스파크도 예외가 아니다.

아주 플랫하게 2열이 접혀지지는 않는 점은 아쉬운 포인트이나 트렁크 공간의 한계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스티어링휠에 제공된 볼륨키와 통화 및 SEEK 버튼은 기본적으로 꼭 필요한 사양이기도 하다. 

조작성이라는 것은 안전운전에도 도움이 되니 말이다.



쉐보레의 인포테인먼트 My Link는 스마트폰 연결하여 사용하는 편리성 외에 이렇게 후방카메라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점, 중소형차에는 이렇게 CDP가 없고 스마트폰과 연동해 활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기본적 기능만 있는 인포테인먼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 다만 네비게이션앱을 국내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앱으로 제공해준다면 100점 만점이 되지 않을까 한다.) 



자, 스파크 C-TECH에 대한 전체 스케치는 이 영상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총평



쉐보레 스파크, 개성있고 세련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경차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상품개선 모델은 이런 디자인 감각을 더 끌어올리면서 무단변속기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한 모델이라고 평하고 싶다.

경차는 경제성만 바라보고 타는 모델이 아닌 충분한 주행성능과 함께 자신만의 멋을 표출하는 모델임을 스파크가 잘 나타내고 있고 벌써 5년이 넘은 스파크, 만약 다음에 풀체인지 되면서 이 디자인이 바뀐다면 왠지 아쉬움이 남을 것 같다. 

그만큼 본판이 훌륭한 모델이었기 때문에..


※ 다나와 자동차의 기고요청을 받아 시승차과 저작권료를 지원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2379

Trending Articles